
개요
- 국가 생물종목록은 우리나라가 관리하고 있거나 관리가 필요한 모든 생물종을 대상으로 합니다.
- 기관, 학계, 그리고 일반사용자들이 혼동하여 사용하고 있는각 생물종의 분류체계, 학명, 동종이명, 일반명 등에 대하여 검색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올바른 결과를 조회해 볼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- 자체적으로 엄격한 종목록을 유지관리 할 수 없는 기관, 연구소,기업 등이 국가 생물종목록과의 연계를 통하여 항상 최신 종목록을 받아갈 수 있는 정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- 기관별로 분리되어 관리되어 오던 한국 자생종들에 대해서는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연번 체계(KTSN)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자원관리가 국가적으로 가능하게 하며, 나고야의정서 등 생물자원 관련 국제법이 요구하는 각종 국내절차를 효율적이고 통일된 방식으로 처리함에 있어 근간이 될 수 있는 체계를 제공합니다.
- 국가생물종목록은 Cavalier-Smith(2004)와 Van Baarlen(2007)의 분류체계를 혼용하여 따랐으며, 기타 세부분류군에 대해서는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의 관리체계를 반영하였습니다.
주요목적
기대효과
- 국가 생물종목록은 아래의 기대 효과가 있습니다.
- 첫째, 생물다양성 협약의 이행을 위한 국가 단위의 생물다양성/생물자원 정보관리가 가능합니다.
- 둘째, 우리나라 생물주권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.
- 셋째, 분산되어 있는 생명자원 데이터베이스들의 효율적인 통합(Integration)은 국내 기관 및 기업들간의 생물다양성 업무의 효율성 증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
- 넷째, 관련 학문분야의 발전 및 일반인들에 대한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.